전문 테러 단체 조직원이 아닌 자생적 테러리스트를 이르는 말. 배후 세력 없이 특정 조직이나 정부에 대한 반감으로 스스로 행동에 나서는 것이 특징이며 ‘은둔형 외톨이’ 등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경향. 외로운 늑대에 의한 테러는 테러 감행 시점이나 방식에 대한 정보 수집이 쉽지 않아 조직에 의한 테러보다 예방이 더욱 어려움. 본래 1996년 러시아 남부 다게스탄 공화국 키즐랴르를 기습한 체천 반군을 일컫는 말이었으나 1990년대 중반 미국 극우 인종주의자 앨릭스 커티스가 백인 우월자들의 행동을 선동하면서 ‘자생적 테러리스트’ 의미로 외로운 늑대를 처음 사용.
자국 국민 또는 자국 국민들이 조직한 테러집단이 자국정부와 국민을 상대로 자행하는 테러 유형. 자생테러 용어는 미국에서 처음등장(homegrown terrorism) 하였는데, “미국이나 미국의 어떤 소유물 내에서 태어나거나 성장하거나 기반을 갖고 활동하는 어떤 집단이나 개인이 정치적, 사회적 목적들을 위해 미국정부, 미국시민 또는 그것의 어떤 부분을 위협하거나 강요하기 위해 무력이나 폭력을 사용하거나 계획하는 것”을 의미. 전통적으로 한 국가 안에서 발생하는 테러를 지칭하기 위해 국내테러(domestic terrorism)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이러한 용어와 뚜렷이 구분되는 현상을 지칭하기 위해 자생테러라는 용어를 사용.
對테러(Counter-terrorism) 는 현재 진행중이거나 발생된 테러에 대한 응징 차원의 대응활동 또는 발생 가능한 테러를 방지하기 위한 전술적ㆍ방어적ㆍ현장중심의 대응을 의미
反테러(Anti-terrorism) 는 테러에 반대한다는 입장하에서 테러 행위를 미연에 방지하고 원천적으로 근절하기 위한 국가차원의 전략적ㆍ공격적ㆍ예방적인 의미로 사용.
국내테러(Domestic terrorism) : 테러사건의 준비ㆍ실행ㆍ효과 등이 한 국가 내에서만 이루어지고 영향을 미치는 테러사건
국제테러(International terrorism) : 테러사건의 준비ㆍ실행ㆍ효과 등 전 과정중 한가지만이라도 2개국 이상이 관련되었거나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테러 사건
초국적테러(Transnational terrorism) : 2개국 이상이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국제테러와 유사하나 무차별화ㆍ초대형화 되고 있는 현대 테러의 특징을 강조하는 표현으로 최근 널리 사용되는 추세.
99년 당시 미 국방부가 후원하는 민간연구소인 '랜드(RAND) 연구소' 에서 처음 사용한 용어로 최근의 테러가 종래의 테러 양상과 달리 무차별화ㆍ대형화되는 현상을 지칭
95년 일본 '옴 진리교'의 동경 지하철 사린가스 살포, 미국 9.11 항공기 자살충돌 테러가 대표적인 사례.
'게릴라' 의 어원은 영국의 이베리아 해방전쟁(1809~1813)시 영국의 웰링턴 장군을 지원하여 프랑스군 축출에 공을 세운 스페인ㆍ포르투갈의 비정규군을 '게리예로스'(Guerrilleros) 라고 부른데서 기원
게릴라 조직은 주로 군사적 승리에 중점을 두며, 주민들의 협조나 지원과 상관없이 독자적으로 활동하는 테러조직과는 달리 주민들과 연계하여 활동.
극우테러는 반공을 주장하거나 특정 민족ㆍ인종의 우월성을 주장하기 위해 다른 민족이나 정부를 공격하는 테러를 의미
(독일ㆍ러시아 '스킨헤드族', 미국'KKK' 등)
극좌테러는 공산주의 또는 사회주의 국가 건설이라는 투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행하는 테러를 의미(일본ㆍ독일 '적군파', 페루 '빛나는 길' 등)
[일명 : 이슬람 근본주의]
이슬람 사회가 서양사회에 예속된 원인이 이슬람교의 타락에 있다고 주장하며 코란에 충실했던 이슬람교 초창기의 순결하고 엄격한 도덕으로 되돌아 갈 것을 주장하는 순수 종교운동이었으나
1920년대 이집트 '무슬림 형제단' 이라는 과격단체가 영국의 식민통치에서 탈피, 코란에 근거한 순수 이슬람 국가 건설을 주장하며 폭력적 수단을 가미하기 시작
70년대 들어 아랍국가들이 장기집권으로 세속화되고, 서양 기독교 문화가 본격 유입되면서 테러단체들이 이슬람 원리주의 이름하에 극단적 폭력을 정당화한 이후 이슬람 테러리즘을 지칭하는 말로 의미가 변질.
수니파와 시아파는 이슬람교의 대표적인 양대 종파
수니파는 모하메드의 정통을 계승했다고 자처하는 파벌로 사우디아라비아를 종주국으로 요르단ㆍ시리아ㆍ리비아ㆍ파키스탄ㆍ아프가니스탄 등 대부분의 이슬람 국가에서 우세한 교세를 보유
※ 수니파란 '수나'(모하메드의 언행)를 이상으로 삼는 사람들이란 뜻
시아파는 모하메드의 종제이자 사위인 '알리'(4대 칼리프)의 혈통을 이어받은 인물을 모하메드의 진정한 후계자로 신봉, 이란을 종주국으로 이라크(60%)에서만 우세한 교세를 보유
※ 시아파란 '시아트 알리'(알리의 黨)의 약칭으로 10억 이슬람 교도중 10% 미만의 교세를 보유. 칼리프란 예언자 모하메드의 후계자
수니파와 시아파는 대립관계인 것으로 알려져 왔음.